레이블이 wif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if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04/25

Ubuntu 15.04 적극 추천


어제 글(어제 밤에 12시를 넘기는 바람에 날짜는 이 글과 동일함)에서 우분투 15.04를 권장하지 않는 분위기로 글을 올렸는데 VirtualBox가 아니고 iMac에 설치해서 잠깐 사용해 본 결과 우분투 15.04를 적극 추천하지 않을 수 없게 입장이 바뀌었기에 이 글을 별도로 작성한다. 적어도 Intel-Mac 사용자들에게는 강력 추천하고 싶다. 기능이 추가된 것보다는 안정성이 상당히 강화된 것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우분투 14.04 LTS 보다 더 안정된 느낌이다.

원래는 VirtualBox에만 설치하고 메인 머신은 우분투 14.10으로 1년 정도 더 버텨볼 생각이었다. 그런데, 가상머신 환경이라 느려서 그렇지 뭔가 상당히 안정된 느낌을 주었기에 메인 머신에서 테스트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15.04로 하드디스크의 우분투 설치 iso를 이용하여 Clean Install 하였다.

 Nvidia 드라이버 안정성

우선, Nvidia 드라이버가 상당히 안정화 되었다. Nouveau 드라이버도 상당히 개선된 것 같고, 우분투 15.04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Nvidia proprietary driver도 346.59 버전으로 거의 최신 버전이다.

일단 14.10버전까지 오픈 소스 Nouveau 드라이버는 Qt Creator에서 QML 등 OpenGL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잔상이 생겨서 거의 사용할 수 없었는데 깔끔하게 동작한다. 다만,  Virtual Box 우분투 guest 머신에서 3D 가속을 사용할 경우 시스템이 죽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이전 버전에서도 흔히 생겼던 문제이고 우분투 문제라기 보다는 Virtual Box 문제인 경우가 많았다. Windows guest는 그럭저럭 잘 돌아간다. 3D 가속만 끄고 사용하면 우분투 게스트도 좀 느리긴 하지만 별 문제는 없다.

우분투 14.10까지는 Nvidia proprietary 드라이버를 Nvidia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 사용해야 했다. 우분투에 기본 탑재된 드라이버를 사용할 경우 공포의 black screen 문제가 발생했었다. 이제는 기본 탑재된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 특히, Intel-Mac 사용자들에게는 기쁜 일이다. 또 한가지 Mac 사용자들에게 반가운 점은 화면 밝기 조절을 매 부팅시마다 해 주었어야 했는데 밝기 변경 상태가 재부팅 후에도 잘 유지된다

System 안정성

우분투 14.10 사용시에는 부팅시마다 colord-sane 데몬 등 crash가 끊이질 않았는데 crash가 없어지니 뭔가로 부터 해방되어 편안한 느낌이 든다. 몇일 더 써 봐야 확실해지긴 하겠지만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이렇게 안정된 느낌을 받아 본적이 없을 정도다.

우분투 14.10 설치 후 재부팅시 iMac에서 우분투로 부팅할 수 없었던 문제도 사라졌다. EFI 설정이 잘 보존된다. 다만, 우분투 15.04를 설치한 후 EFI Multi-OS 사용시 부팅 순서를 우분투가 1순위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것은 어쩌면 OS 입장에서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방금 설치한 OS로 부팅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아무튼 부팅 순서는 우분투로 부팅하고 나서 이전 글의 efibootmgr 사용법을 참고하여 바꿔주면 그만이다.

WIFI 안정성

iMac에서는 우분투에 기본 탑재된 Broadcom proprietary driver를 사용하면 되는데 수동으로 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는 아직 남아있다. 몇일 더 써보아야 확인이 되긴 하겠지만 WIFI도 개선이 된듯하다. 무선공유기에 가끔씩 연결이 안되는 문제가 사라졌고 네트워크 속도도 상당히 빨라진 느낌이다. 오늘이 주말이라 그럴 수도 있기 때문에 좀더 지켜봐야 한다. 참고로, 유선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언급하지 않는 이유는 예전부터 별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아직 하루도 안써 보고 안정성을 얘기하는 것이 때 이르긴 하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이후에 다시 글을 수정할 생각이다.

2014/10/07

Ubuntu USB WIFI adaptor


이전 글에서 아이맥에서 WIFI 드라이버로 Broadcom proprietary driver를 사용하면 된다고 했었다. 모델은 iMac13,2에서 WIFI는 Broadcom BCM4331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우분투에서 가끔씩 네트워크 접속이 잘 안되거나 끊기는 문제가 있다. chrome에서 확인해 보면 웹사이트 접속시 아래 상태바에 Resolving host...라는 메시지가 뜨고 접속이 안될때가 종종 생긴다.

그동안 불편한 대로 참고 써왔는데 오래 전에 Anygate USB WIFI adaptor를 사놓고 쓸일이 없어서 보관하고 있는 것이 생각이 났다. 구형이라 IEEE 802.11bg까지만 지원된다. 그런데 어차피 Broadcom 드라이버도 우분투에서는 IEEE 802.11n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는 매한가지다. 네트워크 접속의 안정성이 더 중요한 문제라서 이 놈을 우분투에서 사용해 보기로 하였다.

우선 Anygate 드라이버 구글 검색을 해보니 안잡힌다. 아래와 같이 리눅스 드라이버 명을 알아내야 한다. isl3887이다.

$ lsusb | grep -i wireless
Bus 003 Device 002: ID 0cde:0015 Z-Com XG-705A 802.11g Wireless Adapter [Intersil ISL3887]
구글링해 보니, linux-firmware-nonfree 패키지를 설치하고 p54usb 모듈을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아래 명령으로 확인해 보면, 우분투 14.04에는 이미 패키지도 설치되어 있고 p54usb도 이미 로딩되어 있다.

$ dpkg -l | grep linux-firmware-nonfree
$ lsmod | grep p54usb

아래 두 가지 명령으로 WIFI 드라이버가 정상 작동하는지 알 수 있는데, wlan0는 이미 사용하고 있으니 wlan1이 잡혀야 하는데 안잡힌다.

$ iwconfig
$ ifconfig

조금 더 찾아보니 debian wiki에서 해결책이 나왔다.

$ sudo -i
$ wget https://daemonizer.de/prism54/prism54-fw/fw-usb/2.13.25.0.lm87.arm --no-check-certificate
$ mv 2.13.25.0.lm87.arm /lib/firmware/isl3887usb
$ modprobe -r p54usb && modprobe p54usb

$ sudo reboot

위와 같이 firmware를 받아서 모듈을 다시 로딩해야 한다. 그런데, 재부팅까지 해 주어야만 잡힌다.
재부팅 후 iwconfig 해 보면 아래와 같이 wlan1이 잡힌다.

$ iwconfig
wlan1     IEEE 802.11bg  ESSID:off/any  
          Mode:Managed  Access Point: Not-Associated   Tx-Power=14 dBm   
          Retry  long limit:7   RTS thr:off   Fragment thr:off
          Power Management:off
          
eth0      no wireless extensions.

lo        no wireless extensions.

wlan0     IEEE 802.11abg  ESSID:"AAA"  
          Mode:Managed  Frequency:2.462 GHz  Access Point: 00:00:00:00:00:00   
          Retry  long limit:7   RTS thr:off   Fragment thr:off
          Power Management:off
이제 Unity 상단 패널의 WIFI 아이콘을 클릭해서 SSID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Access Point에 접속하면 된다.

일단, 동작은 잘되는데 안정성 문제는 몇일 동안 써봐야 확인될 것이다. WIFI 안정성 문제가 WIFI 드라이버 때문인지도 사실 확실하지는 않다.

추가적으로, 기존의 Windows BCM4331 드라이버를 가지고 ndiswapper로 firmware 모듈을 로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나중에 시도해 볼만하다.


참고 사이트

https://wiki.debian.org/prism54#p54usb
https://wiki.sabayon.org/index.php?title=Using_Broadcom_wireless_and_ndiswrapper_w/Sabayon_miniEd

2014/09/03

Windows와 Ubuntu에서 삼성 프린터 WIFI


삼성 복합기 프린터 SL-C463W에서 무선 공유기로 WIFI 연결을 해야하는데 시행착오 끝에 겨우 연결했다. 의외로 우분투에서는 오픈소스 드라이버로 쉽게 연결된다. 문제는 Windows에서 드라이버 설치 후 무선으로 인쇄가 안되었다. OS 설치할 때마다 발생하는 문제라 정리해 둔다. HP WIFI 프린터 들은 일반 TCP/IP 설정으로 잘 되는데 삼성 프린터는 잘 안되고 복잡하다. 참고로, 프린터에서 고정 IP를 지정하였다.

Windows에서 삼성 프린터 WIFI 연결

제어판에서 프린터 추가할 때 Local Printer 선택해서 TCP 포트에 프린터 IP 주소 넣어서 추가한다. Windows Update에서 Printer Driver를 가져오도록 하고나서 Samsung C460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고 나서 Test Page 인쇄하면 잘되는 듯 싶지만 인쇄 오류가 발생한다.

삼성 사이트에서 SL-C463W 다운로드 페이지에 들어가면 소프트웨어가 있는데 Easy Wireless Setup이라는 놈이 있다. 이 놈을 내려 받아서 실행하면 프린터의 WPS 버튼을 누르라고 한다. 이걸 눌러 주면 WIFI 연결이 된다.

Ubuntu 삼성 프린터 WIFI 연결

위의 삼성 사이트에 Linux용 드라이버가 있는데 그걸 써도 되고,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써도 프린트하는 데는 문제없다.

[System Settings] > [Printers] > [Add] > [Select Device] > [AddSocket/HP JetDirect] 선택 후 오른 쪽의 [Location of network printer] > [Host]에 프린터 IP 주소를 지정하고, [Forward] > [Choose Driver] > [Select Driver] > [Select printer from database] > [Generic] > [Forward] 하면 [PCL 6/PCL XL] > [PCL 6/PCL XL Printer Foomatic/pxlcolor[en] (recommended)]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추천해 준다. [Forward] > [Describe Printer] > [Printer Name]에 프린터 명을 지정해 주면 프린터가 추가된다.

Test Page를 인쇄하려면 추가된 프린터를 선택해서 마우스 우클릭해서 [Properties] > [Settings] > [Print Test Page]를 선택하면 된다.

2014/08/17

Ubuntu 복구 모드(recovery mode) 활용


우분투 복구 모드로 진입해야 하는 경우가 드물게 생긴다. 주로, NVIDIA 드라이버를 설치 또는 제거하거나 File System의 일부가 깨져서 fsck를 돌려야 할 경우이다. 복구 모드는 부팅 후 Grub 메뉴에서 Advanced Ubuntu Options에서 Recovery Mode를 선택하여 진입한다.

여기서는, 복구 모드에서 하드 디스크에 쓰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과 그 후 콘솔에서 WIFI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NVIDIA 드라이버를 설치 및 제거 하는 방법들을 정리한다.

하드 디스크 쓰기

우분투 복구 모드로 부팅하면 메뉴가 뜨는데 root command prompt를 선택한다. 그 후 다음 명령만으로 쓰기가 가능해 진다.

$ mount -o rw,remount /

그런데, root partition 외에 다른 파티션도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 해당 파티션을 추가로 마운트 한다. 원래는 mount -a 명령으로 /etc/fstab에 등록된 모든 파티션이 마운트 되는데 우분투 14.04에서는 안되더라. 필요한 파티션을 각각 마운트 해주면 된다.

$ mount /home

복구 모드에서 WIFI 사용하기

가끔 복구 모드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할 때가 생긴다. 그런데, WIFI my_SSID와 my_password를 무선 공유기에 알려 주어야 하므로 해당 설정 파일을 수동으로 만들어 둘 필요가 있다.

$ wpa_passphrase my_SSID my_password > ./wpa_supplicant.conf

위의 파일을 vi나 nano 등의 편집기를 사용하여 아래의 내용과 같이 수정해 준다.

$ cat  ./wpa_supplicant.conf
ctrl_interface=DIR=/run/wpa_supplicant
update_config=1
fast_reauth=1
# ap_scan may be: 0, 1, 2
ap_scan=1
network={
    ssid="my_SSID"
    #psk="my_password"
    psk=ba4467448e288e60d085fd5b50282d6d59cfd08
}
이제 WIFI daemon을 실행 한다.

$ wpa_supplicant -B -i wlan0 -c ./wpa_supplicant.conf
$ dhclient wlan0 &

WIFI에 접속이 됐는지 확인하려면,

$ sleep 3
$ route -n
$ nslookup google.com

NVIDIA 드라이버 설치하기

NVIDIA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은 드라이버를 설치하기에 앞서 오픈소스 드라이버인 nouveau 모듈이 부팅시에 로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etc/modprobe.d/blacklist.conf 파일에 아래의 한 줄을 추가해 준다.
blacklist nouveau
설치는 아래와 같이 내려 받은 파일을 실행하여 따라가면 된다. 이 과정에서 64-bit 우분투인 경우에 라도 나중에 WINE 등을 설치할 경우를 대비해 32-bit 라이브러리도 설치해 두는 게 좋다.

$ sh NVIDIA-Linux-x86_64-340.24.run
$ sudo reboot

NVIDIA 드라이버 제거 및 다시 nouveau 드라이버 복구하기

NVIDIA 드라이버 설치 후 부팅했는데 정상동작하지 않아서 다시 nouveau 드라이버로 우분투를 구동하기 위해서 다음 과정이 필요하다. 참고로, NVIDIA 드라이버는 버전에 따라 자신의 PC와 잘 맞는게 있고 그렇지 않은게 있다. 다시 복구 모드로 부팅하여 아래와 같이 제거한다.

먼저, 앞서 추가했던 /etc/modprobe.d/blacklist.conf 파일에서 blacklist nouveau를 삭제하고,

$ sh NVIDIA-Linux-x86_64-340.24.run --uninstall
$ sudo reboot

다시, 부팅 후 로그인은 되는데 바탕화면만 나오고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Control>+<Alt>+<F2>를 눌러 콘솔 모드로 로그인한다. 로그인 후,

$ sudo service lightdm stop
$ sudo apt-get install --reinstall xserver-xorg-core libgl1-mesa-glx
$ sudo service lightdm start

위와 같이 OpenGL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하고 나서 <Alt>+<F7> 키를 누르면 X-Window로 로그인 할 수 있다.

우분투 OpenGL 관련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후 NVIDIA 문제 해결

Proprietary NVIDIA 드라이버 사용시 Ubuntu Daily Update 후 재부팅하면 로그인은 되는데 바탕화면만 나오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문제가 또 생긴다. 이는 OpenGL 라이브러리 또는 xserver-xorg-core 패키지가 업데이트 될때 NVIDIA 라이브러리를 덮어 쓰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NVIDIA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 주면 문제가 해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