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unity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nity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08/09

Windows 10과 Ubuntu Unity Desktop


Windows 10을 몇일 써 보니 Ubuntu Unity Desktop과 겉보기에는 다르지만 근본적으로는 비슷한 기능들이 보여서 사용자 관점에서 간단히 비교해 보기로 하였다. 사실, OS 들도 서로 모방하면서 발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우분투나 리눅스가 더 낫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Windows 8과 우분투 Unity Desktop - 사라진 "시작 메뉴"

Windows 8에서 Windows Tile의 등장으로 Windows Desktop은 Windows 앱 중의 하나로 전락했다. 더구나 Windows Desktop으로 진입한 후에도 "시작 메뉴"에 자신이 설치한 앱들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많은 사용자들을 당황하게 만든 것 같다. 오른쪽 위 언저리에 마우스를 갖다 대야 나타나는 앱 검색 기능은 Windows 8을 직접 설치한 사람이 아니라면 사용 방법도 모를 것이다. 사실, Windows 8을 설치하고 나서 Gnome Shell을 모방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우분투 Unity도 Gnome Shell과 Mac OS X 짬뽕인 것처럼 느껴지듯이...

"시작 메뉴"의 기원은 Windows 였고, "시작 메뉴"를 Desktop에서 처음 없앤 것은 Gnome Shell이었을 것이다. 우분투의 Unity Desktop에도 "시작 메뉴"가 없다. Windows 7까지의 Desktop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마우스로 자신이 설치한 앱을 "시작 메뉴"에서 찾아 사용하던 습관을 버리기 어렵다. "시작 메뉴"가 사라진 Windows 8과 마찬가지로 우분투 Unity Desktop도 처음 우분투를 접하는 사용자들에게는 거부감을 줄 수 있다. 리눅스 Mint 사용자들이 우분투 사용자 보다 늘어나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도 "시작 메뉴" 때문일 듯 하다. 더구나 "시작 메뉴"는 키보드에 [Windows] key가 배치되면서  더욱 사용자들에게 익숙해져 버렸다. 리눅스 Desktop 환경에서도 이 [Windows] key를 [Super] key로 사용하기 때문에 "시작 메뉴"는 Windows 사용자뿐만 아니라 리눅스 데스크탑 사용자들에게도 익숙한 것이다.

키보드가 있는 PC 환경에서는 "시작 메뉴"에서 마우스로 앱을 찾아 들어가 클릭하여 실행하는 것보다는, Gnome Shell이나 Unity Desktop에서 처럼 [Super(Windows)] key를 눌러서 앱이나 파일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실행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Windows 8이나 우분투 Unity Desktop이 Touch 환경까지 고려해서 만든 것이지만, 키보드가 없는 Touch Pad 환경에서는 키워드 검색보다는 Touch로 "시작 메뉴"의 앱을 찾아 들어가 실행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그러나, Windows 8이나 Unity Desktop이나 "시작 메뉴"는 사라졌다. 그렇다고 Touch가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Windows 8에서는 앱들이 Tile에 배치되고 Unity Desktop에서도 Unity Launcher나 Dash에서 앱 아이콘을 Touch 할 수 있다. 그러나, 익숙한 카테고리 별로 앱들이 분류된 "시작 메뉴"와는 달리 일일이 원하는 앱을 찾기는 무척이나 힘들다.

Windows 10 "시작 메뉴" 부분 복귀와 우분투 Unity Desktop - 검색 기능

Windows 10에서는 부팅 후 Desktop이 기본 환경이 되었고 "시작 메뉴"도 부분적으로 부활했다.  Windows 7까지의 "시작 메뉴"와는 달리 카테고리가 알파벳 또는 가나다 순으로 배치되었다. 자주 사용하는 앱은 "시작 메뉴"의 Tile에도 배치할 수 있도록 Windows 8의 Tile 기능을 수정했다.

그렇지만, 자신이 설치한 앱이 "시작 메뉴"에 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시작 메뉴" 복귀를 원했던 사용자들은 여전히 실망할 것이다. 참고로 "시작 메뉴"에서 모든 앱 보기로 가나다 순으로 배치된 앱을 찾아서 Tile에 앱 아이콘을 끌어다 놓으면 "시작 메뉴"의 Tile에 자주 사용하는 앱을 배치하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Tile 내에서도 수직으로 아이콘을 Tile이 없는 곳에 조금 더 밑으로 끌어다 놓으면 새로운 카테고리도 등록할 수 있다.

Windows 10에서 이 보다 더 주목할만 한 것은, 앱/설정/파일 검색기능을 "시작 메뉴" 및 Task bar에 배치함으로써 키워드 검색 기능을 Windows 8보다 더욱 강화시켰다. Windows 8에서는 검색기능이 숨어 있다는 점 외에도 사용자가 앱/설정/파일을 별도로 지정해서 검색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Windows 10에서는 인터넷 검색까지 포함해서 통합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우분투 Unity Desktop의 검색 기능과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Windows 10의 키워드 검색 기능은 다음과 같이 우분투 Unity Desktop/Gnome Shell 보다는 아직 한 수 아래다.
  • 앱 사용 목적에 따른 키워드 검색 지원이 안된다. Unity Desktop에서 "internet" 또는 부분 문자열인 "int"로만 검색해도 인터넷과 관련된 앱들을 보여주는데, Windows 10에서는 internet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앱인 internet explorer만 검색된다.
  • 또한, 최근에 만든 문서 검색은 키워드 검색 후 [내 장치]에서 검색을 한번 더 선택해야 보여 준다. 탐색기에서 최근에 사용한 문서나 폴더를 볼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Unity에서는 통합 검색 결과를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형태로 보여준다.
  • 추가적으로, Windows에서는 파일 확장자 별로 기본 앱이 할당되어 있음에도 확장자로 검색하면 기본 앱을 보여주지 않는다. Unity는 확장자 검색도 지원된다. 가령, ppt를 검색하면 ppt 파일 뿐만아니라, Libre Office Impress도 검색된다.
이 외에도 한글 키워드 들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은 Unity나 Windows 10이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가령, "word"로 검색하면 Office Word가 검색되지만, "워드"로 검색하면 워드패드만 검색되는 식이다. Windows 10의 키워드 검색 기능이 우분투보다 좋은 한 가지는 구글 검색처럼 한글 변환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한글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가령, "메모" 대신 "apah"라고 검색해도 메모장을 보여주는 식이다.


참고로, 우분투 Unity에서는 Lens 확장 기능을 이용해서 야릇한(?) 것들에 대한 검색도 지원한다. 구글 검색에서 시도하는 것들을 다 집어 넣으려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가령, 우분투 15.04의 Unity에서 "10*300"을 검색하면 계산기 앱을 띄워서 "3000"이라는 결과를 보여준다. 뭐 이런 것까지 지금 당장 필요해 보이지는 않지만 미래의 OS에는 야릇한 기능 들이 일상 기능이 될지도...

결론적으로, 우분투 Unity Desktop에서는 "시작 메뉴"가 없어도 키워드 검색만으로 충분하지만, Windows 10은 좀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Windows 10 가상 데스크탑과 우분투 작업공간

Windows 10에서 처음으로 가상 데스크탑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가상 데스크탑의 수는 Gnome Shell처럼 동적으로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Taskbar의 검색 기능 바로 옆에 새로운 아이콘이 하나 생겼는데 이것이 가상 데스크탑 아이콘이다. 물론 Windows 3.1 시절부터 가상 데스크탑을 만들어 주는 앱들을 사용할 수는 있었지만 OS에서 지원하는 것이 아니다 보니 성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반면에 리눅스에서는 X-Window 초기 시절 부터 Workspace라는 이름으로 존재해 왔다. 거슬러 올라가면 리눅스의 Workspace도 Unix를 모방한 것이다. 우분투의 경우에는 [All Settings] > [Appearance] > [Behavior] Tab에서 [Enable workspace] checkbox에 설정을 해 주어야 Unity Launcher에 4분할 작업공간 icon이 나타난다. 작업공간 갯수는 4개가 기본이지만 더 늘릴 수도 있다.

리눅스 데스크탑에서는 각 작업공간에 실행 중인 앱을 마우스로 이쪽에서 저쪽으로 쉽게 Drag & Drop이 가능하다. Windows 10에서도 가능하긴 한데 좀 불편하다. 큰 창에 있는 앱을 화면 아래의 원하는 곳의 작은 가상 데스크탑으로 끌어다 놓아야 한다.


한편으로, Windows의 가상 데스크탑들은 현재 실행 중인 앱 정보가 데스크탑 별로 보안이 잘 유지된다. 우분투에서는  Unity Launcher에서 전체 Workspace에서 실행 중인 앱들을 어느 Workspace에서나 볼 수 있다. 우분투의 장점은 Workspace의 위치에 상관 없이 앱 전환을 빠르게 할 수 있는데 반해 Workspace 간의 실행 앱들에 대해 비밀 보장이 안된다. 뒤집어 얘기하면 Windows 10의 가상 데스크탑의 장점은 한쪽에서 게임을 하다가 다른 데스크탑으로 재빨리 이동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들키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Windows 10 Edge Browser

우분투도 webbrowser라는 Qt 기반의 가벼운 자체 Web browser를 제공하고 있는데 공식적으로 자랑하고 있지는 않고, 기능도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라서 Windows 10의 새로운 기본 Web Browser인 Edge와 비교하기는 좀 그렇다.

Edge는 잘 알려진대로 ActiveX를 지원하지 않고 타 Web Browser 들에 비해 성능도 무척 좋다. 한편, 각종 정보가 Edge를 통해 Microsoft로 새나갈 수 있다는 얘기도 있다. 다른 Browser에서 볼 수 없는 한가지 새로운 기능이 있는데, 특정 Web에 접속한 후 메모를 하고 저장할 수 있다. Screenshot으로 메모를 쉽게 저장할 수 있는 점은 유용해 보인다.

맺음 말

Windows 10과 우분투 Desktop 중 유사한 기능 들에 대해 간단히 비교했는데 누가 더 낫다기 보다는 이런 기능도 각각 필요해 보인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종합적으로는 Windows 10에서 키워드 검색기능이 더 보완되면 "시작 메뉴"가 더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고, 우분투 사용자들에게는 이미 사라진 "시작 메뉴"에 연연해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알려 주고 싶다.

2015/02/20

Ubuntu 14.10 Unity Process 이슈


Unity Desktop Freeze 재발

설 전날인 2/18일자 우분투 14.10 daily update가 있었는데 xserver-xorg-core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었다.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이전 글에서와 동일하게 Unity Desktop으로 로그인 후 배경화면만 보이고 Unity가 먹통이 되는 증상이 다시 발생했다. 복구는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사용자 dconf database 파일을 삭제해 주고 재로그인하면 된다.

$ rm -f ~/.config/dconf/user

우분투 14.10 Unity process 죽는 문제

문제는 Unity Desktop 환경설정이 Ubuntu 최조 설치시점으로 돌아가 버리기 때문에 Desktop 환경 설정을 모두 다시 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xserver-xorg-core 패키지가 update 될때마다 Desktop 환경설정을 다시 해 주어야 하므로 심각한 버그가 아닐 수 없다. ~/.xsession-errors 파일을 확인한 바로는 Unity process가 모두 죽어 버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 듯하다. 이 문제는 PC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우분투 14.04 버전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추측컨대 우분투 14.10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인듯하다.

물론, NVIDIA proprietary 사용자인 경우 OpenGL 라이브러리 update 후에 우분투 14.10이전 버전이라도 Unity process가 기동되지 않을 수 있기는 하다. 동일한 증상이지만 원인이 다르다. 이 경우에는 NVIDIA proprietay driver를 재설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ibus-hangul이 주범?

우분투 14.04와 14.10사이에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dconf database를 건드리는 놈들 중에 가장 큰 변화가 있었던 놈 중에 하나가 ibus-hangul이다. 물론 지금으로선 구체적인 물증이 없다.

더 많은 우분투 사용자가 고통을 겪기까지는 나도 고통을 감내해야할지도...


2015/01/06

Ubuntu Unity Login 이슈


Unity Desktop Freeze

우분투 14.10을 그럭저럭 잘 쓰다가 지난 12월 초에 우분투 daily update를 하고 나서 갑자기 Unity Desktop을 사용할 수 없는 일이 발생했다. 증상이 마치 NVIDIA proprietary driver 사용시 OpenGL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됐을 때와 동일하게 Unity로 로그인은 되는데 로그인 후에 배경화면만 보이고 Unity Launcher나 Panel이 기동되지 않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공교롭게도 update 목록 중에 xserver-xorg-core와 xserver-common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어서 동일한 문제인 줄 알았다. 이전에 발생했던 문제이기에 복구모드에서 NVIDIA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했으나 마찬가지... 혹시나 NVIDIA 드라이버 문제일까 싶어서 nouveau 드라이버로 X-Window를 기동해도 Unity로 진입할 수 없었다. Update 후에 발생한 Unity 문제인 듯 싶어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Gnome Desktop(gnome 3 shell)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Gnome Shell 사용

GUI 환경에 적응되어 있다보니 복구모드에서 콘솔로만 작업하는 것이 얼마나 답답한지 실감할 수 있다. 아무튼 예전에 작성했던 Ubuntu 복구 모드 활용을 써먹을 일이 생겼다. 우분투 복구모드로 부팅 후 WIFI를 콘솔에서 쓸수 있게 설정하고 나서,

$ apt-get install gnome-shell

$ reboot

로그인 시에 Unity로 되어 있는것을 Gnome으로 선택하면 Gnome Shell로 로그인 한다. Gnome 3 Shell도 사실 훌륭한 Desktop 환경이기는 하다. 그러나, 내가 Unity Desktop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단 한가지 이유가 있다. 현재로서는 Unity Desktop에서만 가능한 기능이기도 하다. 그것은 Unity가 Window Title Bar와 Menu Bar를 통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수직 한 줄이 없어지는 것이지만 대단한 차이로 느껴진다. 노트북 사용시엔 더욱 크게 느껴지는 부분이고, 지금은 iMac 27인치 환경에서 조차 Gnome이나 Mint를 쓰다보면 답답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이 느낌은 Virtual Box를 쓸때 매우 확연히 나타난다.

Gnome Shell을 사용하면서 한가지 좋은 점은 ibus-hangul과는 궁합이 잘 맞더라는 것이다. 우분투 14.10에서도 한영키 전환시 상단 패널에 한영상태 아이콘이 적절하게 반응한다.

Unity Desktop 복구

그 동안 Gnome Shell을 계속 쓰다가 답답함을 해소하고자 그 간에 문제가 해결됐는지 구글링을 해 보았으나 daily update 후에 발생한 증상은 없었다. 다만, 우분투 14.04에서 14.10으로 upgrade 한 사용자 들에게서 비슷한 증상이 있는 것 같다. 혹시나 dconf database가 깨진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새로운 User를 생성해서 Unity로 로그인이 가능한지 시험해 보았다. 역시나 그게 문제였던것 같다. 새로운 User로는 Unity 로그인 후 모든 것이 정상이다.

원인을 알았으니 해결 방법은 별것 없다.

$ cd ~/.config/dconf
$ mv user org-user.bak

즉, 사용자의 dconf database 파일을 삭제하면 새로 Unity 로그인시에 새로 생성해 준다.

번거롭지만 위와 같이하면 우분투 새로 설치했을 때 처럼 Unity Desktop 설정을 모두 다시 해 주어야 한다. 배경화면 교체, 폰트 설정, Launcher App 등록 등등을 모두 다시 해야 한다. 이외에도, 영문 사용자만 해당되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ibus-hangu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ystem Settings] > [Text Entry] > [+] 에서 "Korean (Hangul)" Input source를 추가해 주고 나서 Unity 상단 패널에서 태극 문양 아이콘을 선택해야 한영키가 동작한다.

2014/08/17

Ubuntu 14.04 Unity 활용


우분투 14.04에서 Unity가 많이 안정화 되었다. 몇가지 유니티 활용 Tip을 정리한다. Facebook "우분투한국사용자모임"에 올렸던 글이다.

1. 기본 HUD(Heads-up-display) 단축키(오른쪽 Alt)를 F2 키로 변경:
*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바로가기] 탭 > [런처] > [허드를 표시할 키] > F2
* 참고: 한영키 대신 오른쪽 Alt키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

2. Launcher(왼쪽 패널)에 없는 앱 실행
* Super 키(Windows 로고 키) > Dash 검색 창에서 키워드 검색 후 마우스 double-click
* 한글화 되지 않은 앱도 있으므로 영문 이름/키워드로 검색 권함
예1) gnome-terminal: Dash 검색창에서 "터미널" 또는 "terminal" 검색
예2) gnome-screenshot: "screen" 또는 "capture"로 검색

3. Launcher에 자주 쓰는 앱 아이콘 등록
* 2번 앱 실행 상태에서 Laucher의 해당 앱 아이콘 마우스 우클릭: [런처에 고정] 메뉴 선택

4. Launcher 상의 아이콘 위치 변경:
* 마우스로 앱 아이콘 Drag & Drop

5. Launcher 앱 아이콘 크기 조정
* [시스템 설정] > [모양] > [모양] 탭 > [런처 아이콘 크기] > 슬라이더로 조정

6. Launcher 자동 숨기기
* [시스템 설정] > [모양] > [동작방식] 탭 > [런처 자동 숨기기] > [켬]
* 런쳐 표시: [왼쪽 가장자리] 또는 [왼쪽 위 모서리]로 마우스 포인터 갖다 댐

7. 앱 윈도우 메뉴를 앱 창 제목에 보이기
* [시스템 설정] > [모양] > [동작방식] 탭 > [창 메뉴 보이기] > [창 제목 표시줄에 보이기] 선택

8. Launcher에서 작업공간 이동 아이콘 등록
* [시스템 설정] > [모양] > [동작방식] 탭 > [작업 공간 바꾸기 사용] 선택

9. 실행 앱을 다른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 Launcher의 [작업공간 바꾸기] 아이콘 선택 > 원하는 앱 선택 후 마우스로 Drag & Drop
* 작업공간을 바꾸려면 [작업공간 바꾸기] 아이콘 선택 후 원하는 작업공간 선택

10. Dash 창 크기 변경
* Netbook과 같이 작은 화면에서도 Dash가 전체화면 차지하지 않도록 설정
$ gsettings set com.canonical.Unity form-factor "Desktop"
* Dash가 전체 화면 차지하도록 설정
$ gsettings set com.canonical.Unity form-factor "Netbook"
* 기본 설정으로 복귀
$ gsettings set com.canonical.Unity form-factor "Automatic"

11. 컴피즈 설정 관리자를 이용한 Unity 환경 설정
* 컴피즈 설정 관리자 설치 후 실행
$ sudo apt-get install compizconfig-settings-manager
터미널에서 ccsm 명령으로 실행하거나 Dash 창에서 compiz로 검색하여 실행

* 상단 패널 투명도 설정
[컴피즈 설정 관리자] > [Ubuntu Unity Plugin] > [General] 탭 > [Panel Opacity] > 0.3
* Launcher 패널 투명도 설정
[컴피즈 설정 관리자] > [Ubuntu Unity Plugin] > [Launcher] 탭 > [Launcher Opacity] > 0.3
* Launcher 아이콘 선택시 실행 앱 창 Minimize 활성화
[컴피즈 설정 관리자] > [Ubuntu Unity Plugin] > [Launcher] 탭 > [Minimize Sigle Window Applications (Unsupported)] 선택

12. 유용한 단축 키
* 단축 키 보기: <Super> 키 길게 누르기
* 터미널 실행: <Ctrl>+<Alt>+<t>
* 실행 앱 전환: <Alt>+<Tab>
* 현재 작업공간 내 실행 앱 창보기 상태에서 전환: <Super>+<w>
* 모든 작업공간 실행 앱 창보기 상태에서 전환: <Super>+<Shift>+<w>

13. 아직 유용해 보이진 않지만 HUD 사용법
* HUD는 실행 중인 특정 앱의 세부 메뉴를 키 입력으로 실행하는 기능임
* 실행 중인 특정 앱 창을 선택한 상태에서 HUD 단축키로 해당 앱의 메뉴검색
예) gedit 실행 후 HUD 단축키(1번에서 F2로 변경함) 누른 후 side 입력